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머스/level1

[Java][프로그래머스] 체육복

by wave_m 2020. 10. 7.
728x90

문제 설명 : 

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,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.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.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,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.

전체 학생의 수 n,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,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제한사항 : 

  •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.
  •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  •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.
  •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.
  •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.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,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.

입출력 예 : 

n lost reserve return
5 [2, 4] [1, 3, 5] 5
5 [2, 4] [3] 4
3 [3] [1] 2

 

입출력 예 설명 :

예제 #1
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,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.

예제 #2
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.

 

import java.util.Arrays;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 solution(int n, int[] lost, int[] reserve) {
        int answer = 0;
        int count = 0;
        Arrays.sort(lost);
        Arrays.sort(reserve);
        for(int i =0; i< lost.length; i++){
            for(int j=0; j<reserve.length; j++){
                if(lost[i] == reserve[j]){
                    lost[i] = 0;
                    reserve[j] = 0;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for(int i = 0; i<lost.length; i++) {
            for(int j= 0; j<reserve.length; j++){
                if(lost[i] == 0){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} else if(reserve[j]!=0 && lost[i]-1 == reserve[j]){
                    lost[i] = 0;
                    reserve[j] = 0;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} else if(reserve[j]!=0 && lost[i]+1 == reserve[j]){
                    lost[i] = 0;
                    reserve[j] = 0;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for(int i=0; i<lost.length; i++){
            if(lost[i]!=0)
                count++;
        }
        answer = n-count;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

 

알고리즘 풀이 :

1. int 타입으로 변환할 answer을 0으로 초기화하고 선언

2. int 타입으로 count를 0으로 초기화하고 선언

- count는 체육복이 없는 학생 수

3. lost와 reserve를 Array.sort를 사용하여 정렬

4. i가 lost.length-1과 같아질 때까지 for문을 반복

5. j가 reserve.length-1과 같이질 때까지 for문을 반복

- lost[i]와 reserve[j]가 같다면 lost[i]에 0을 저장하고 reserve[j]에 0을 저장하고 break

- 이 부분은 여분이 있으면서 체육복을 도난 당한 경우를 뜻하고 0으로 저장하는 이유는 체육복이 없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

6. i가 lost.length-1과 같아질 때까지 for문을 반복

7. j가 reserve.length-1과 같이질 때까지 for문을 반복

1) lost[i]가 0이면 break

2) reserve[j]!=0 && lost[i]-1 == reserve[j]이면 lost[i]와 reseve[j]에 0을 저장하고 break

3) reserve[j]!=0 && lost[i]+1 == reserve[j]이면 lost[i]와 reseve[j]에 0을 저장하고 break

8. i가 lost.length-1와 같아질 때까지 for문을 반복

9. lost[i]가 0이 아니면 count를 1씩 증가

10. answer에 n - count를 저장

11. return을 사용하여 answer을 반환

 

 

728x90